[프로그래머스] 튜플 C++
코딩테스트 연습 - 튜플
"{{2},{2,1},{2,1,3},{2,1,3,4}}" [2, 1, 3, 4] "{{1,2,3},{2,1},{1,2,4,3},{2}}" [2, 1, 3, 4] "{{4,2,3},{3},{2,3,4,1},{2,3}}" [3, 2, 4, 1]
programmers.co.kr
문제 설명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(a1, a2, a3, ..., an)
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-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-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,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(a1, a2, a3, ..., an)
이 주어질 때(단, a1, a2, ..., an은 자연수),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'{', '}'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
예를 들어 튜플이 (2, 1, 3, 4)인 경우 이는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- 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
- 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
는 모두 같은 튜플 (2, 1, 3, 4)를 나타냅니다.
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[제한사항]
- s의 길이는 5 이상 1,000,000 이하입니다.
- s는 숫자와 '{', '}', ','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-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.
-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[입출력 예]
s | result |
---|---|
"{{2},{2,1},{2,1,3},{2,1,3,4}}" |
[2, 1, 3, 4] |
"{{1,2,3},{2,1},{1,2,4,3},{2}}" |
[2, 1, 3, 4] |
"{{20,111},{111}}" |
[111, 20] |
"{{123}}" |
[123] |
"{{4,2,3},{3},{2,3,4,1},{2,3}}" |
[3, 2, 4, 1] |
입출력 예 #1
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2
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3
(111, 20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111}, {111,20}}이 되며, 이는 {{20,111},{111}}과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4
(123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123}} 입니다.
입출력 예 #5
(3, 2, 4, 1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3},{3,2},{3,2,4},{3,2,4,1}}이 되며, 이는 {{4,2,3},{3},{2,3,4,1},{2,3}}과 같습니다.
풀이과정
요즘 회사일이 갑자기 너무 많아져서 미춰버릴 것 같다. 그래도 알고리즘은 계속 해야지.. 화이팅해보자 제발...
- map 을 사용해서 각 원소의 갯수를 활용해보자라는 생각을 함 => 답을 내보니 통과는 되는데 시간이 좀 걸리는듯
- 각 원소의 갯수를 카운팅 한 결과는 map에 저장되어 있을 것이고
- 이 map을 순회하면서 카운팅 횟수와 맞는 answer 벡터의 위치에 넣어주면 원하는 답이 나온다.
- 내가 생각했던 방식의 핵심은 순서가 가장 앞인 요소의 카운트가 가장 많이 카운팅 된다는 것이었다.
코드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map>
#include <algorithm>
using namespace std;
vector<int> solution(string s) {
vector<int> answer;
// 맨앞 맨뒤 중괄호 제거
s.erase(s.begin()+1);
s.erase(s.end()-1);
string temp = "";
map<int, int> m;
// {, }, , 일 경우에 숫자들(두 자리 이상일 경우도 있으니)을 맵에 넣으면서 카운팅을 해준다.
for(int i = 0; i < s.length(); i++) {
if(s[i] == '{' || s[i] == '}' || s[i] == ',') {
if(temp != "") {
m[stoi(temp)] += 1;
temp = "";
}
continue;
}
else {
temp += s[i];
}
}
answer.resize(m.size());
// 맵에서 카운팅 된 횟수는 맵의 사이즈와 같다. 따라서 아래와 같이 작성해주면
// 원하는 답과 거꾸로 된 결론이 나오게 되는데, 이 때 reverse 메소드를 활용해서
// 원하는 결과값이 나오게 answer 벡터를 역순으로 바꿔준다.
for(auto it = m.begin(); it != m.end(); it++) {
answer[it->second-1] = it->first;
}
reverse(answer.begin(), answer.end());
return answer;
}